현재 msa를 수강중에 있는데 다른 용어들은 들어봤었지만 서킷 브레이커는 처음 들어봤다.인터넷에 찾아보니 서킷 브레이커는 회로 차단기라고 한다. 서킷 브레이커는 서비스간의 호출을 감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거라고 한다.MSA가 각 서비스를 모듈로 각각 만드는건데..그렇다는건 그냥 500에러를 뱉어서 처리를 할 수 도 있겠지만 그렇게 되면 안정성과 거리가 멀어진다.애초에 이렇게 만들꺼면 msa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암튼, 서킷 브레이커는 서비스 간의 호출 실패를 감지하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를 하는거라고 한다.아까 사전적 정의가 회로 차단기라고 했는데여기서는 회로가 무엇을 말하는 걸까?그리고 무엇을 차단한다는 걸까?그러니까 서비스끼리 전파가 회로구그거에 대한 차단을 말하는 거였다!!결..
msa는 하나의 독립적인 서비스를 분리하여 개발하는 것을 말합니다.이는 하나의 스타일이며 권고 사항은 아닙니다.MA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독립적 배포 : 각 서비스 마다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배포가 가능합니다. 만약 모놀로식으로 개발하게 된다면 하나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를 해야 한다면, 개발이 되지 않는 서비스들도 함께 배포를 해야 합니다.2. 유연성 증가 : 유연성이 증가한다는 건 각자의 서비스마다 다른 스타일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연성이 증가하게 되어집니다.3. 확장성 : 이 특징같은 경우 특정 서비스를 고도화를 한다고 생각했을때, 좀더 체계적으로 개발할 수 잇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하지만 단점도 존재합니다.1. 복잡성 증가 : 복잡도가 증가하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