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회사에서 노드를 스프링을 바꿔야 하는 과제를 받았었다. 문제가 있었다. 당시 그 프로젝트는 SSO가 적용되어있다. SSO는 간단히 말해 여러 서비스를 통합해서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했다.그래서 스프링 시큐리티를 적용하기로했다.하지만 문제가 발생했다. 내가 스프링 시큐리티를 모른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같이 일하시는 분이랑 시큐리티에 대해 같이 학습을 하였다.시간이 지나고 나니 스프링 시큐리티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전혀 감이 잡히지않아 이렇게 다시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일단 내가 제일 먼저 알아야 하는건 본질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스프링 시큐리티가 과연 뭘까? 스프링은 이걸로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걸까? 사실 스프링 시큐리티를 적용하지 않아도 인가며 인증이고 전부 가능하다. 스프링 시큐리티를 ..
[복습]지금까지 네트워크를 학습을 하였다. 그래서 그것들을 간단하게 복습하고 이번에는 어떤것을 대략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우리가 네트워크에서 가장먼저 학습하는 부분은 OSI 7계층이다. 7계층 같은 경우는 이론적으로 위대하신 선배님들이 정리해놓은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7계층 같은 경우, 데이터의 흐름 신호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했다. 그러니까 실무적인 관점이 아니라는 뜻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만든 TCP/IP계층이 등장헀습니다. TCP/IP도 전반적으로 OSI와 다를것은 없습니다. 다만 여기서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 부분은 계층 신호입니다. 계층은 물리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응용계층으로 되어있습니다. 신호란 전기신호입니다. 결국 모든 신호는 0과 1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