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장에서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 공간이라고 설명했었습니다. 간단하게 저번에 학습한 내용을 복습해보면 프로세스의 상태는 생성 -> 준비 -> 대기 -> 실행 -> 종료 -> 좀비 -> 해제 순으로 진행이 되어지며, 스케쥴러를 통해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를 결정하게 되어집니다.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방식으로는 FSFC 먼저 들어온 친구부터 처리하는 기법, 우선순위 우선순위가 높은거 부터 처리하는 기법, RR 순차적으로 돌면서 처리하는 기법(순차적은 원형입니다.) SFJ 짧은 시간이 걸릴거 같은거 부터 처리하는 기법, CFS CPU가 가장 적게 쓴거 부터 처리하는 기법등이 존재합니다. 핵심은 모든 스케쥴러는 최초 1회는 FSFC으로 동작을 하게 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