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전과 가용영역
- aws 자격증 뽀개기
- 2021. 3. 31. 21:27
리전 : aws의 모든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인 장소
2021년 3월 30일 기준으로 서울에 리전이 추가되어있습니다.
실제로 서울지역에 aws가 존재하는지 확인해봅시다.
aws 리전 서비스
모든 서비스가 모든 리전에서 동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A라는 서비스는 미국 리전에서 동작하지만 서울 리전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즉, 내가 사용하고 싶은 서비스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그 서비스가 그 리전에서 사용되어지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에서 리전은 물리적인 장소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렇다는 이야기는 서울어딘가에 그 물리적인 장소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확실한건 아니지만, 이 위치에서 우리가 필요한 aws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 같습니다.!
위 그림은 aws그로벌 맵입니다.
파란지역은 리전이고 빨간색은 제공예정입니다.
근데...
왜 리전이 이렇게 많을까요?
1. 네트워크 속도 때문입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aws초창기에는 미국 리전만 존재했겠죠?
그때 보다 지금이 기술이 발달을 하였다고는 하지만
미국에서 서비스 하는것이 빠를가요? 서울에서 서비스를 하는 것이 빠를까요?
속도를 빨라지게 하는 기술을 미국에도 적용할 수 있다면, 서울쪽에도 적용하는것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요?
2. 장애 대응입니다.
서울리전만 존재한다고 가정합시다.
자연재해때문에, 서울리전을 사용이 불가능해졌다고 가정해봅시다.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장애가 발생해도 서버를 운용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지만,
쿠키런을 만든 데브시스터즈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면 그 피해액은 상상 초월할 것입니다.
하지만 리전이 여러개이기 때문에 어떤 리전이 원인모를 장애로 서비스가 종료가 되어도
다른 리전으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네트워크 속도때문에 피해를 100%막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가용영역은 무엇일까요?
가용영역
가용역역은 Availability Zone이라고하며,
이용가능한 지역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00%이해한것은 아니지만,
가용영역의 존재도 리전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다른점은 가용영역를 가진곳을 데이터 센터라고 부르는 것으로 데이터를 모아두는 그런곳이라 추측이 든다.
[생활코딩]의 이고잉님의 강의를 수강하면서
가용영역은 인터넷보다 빠른 전용선으로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니까 데이터센터 하나가 망가져도 빠른 대처가 빠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어째서 이렇게 나누는 것일까?
리전으로도 충분할텐데...
특정한 지역은 리전만으로도 충분할지도 모른다.
생각을 해보자.
만약에 가용영역이 하나라 가정하고 그 가용영역이 불가능해졌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가장 가까운 도쿄리전을 사용한다는 것인데...
무려 1,159km라는 결과가 나온다.
다시 돌아와서
가용영역이 2~3개 이상이라고 생각해보자.
가용영역이 리전끼리의 거리보다 길리가 없다.
왜냐하면 가용영역은 리전안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데이터같은것을 데이터 센터, 리전끼리 공유가 되는 모양이다.
아니면 가져오는 또 다른 방법이 있거나...
아무튼 리전과 가용영역은 용어만 다르지,
쓰임새는 크게 다르지 않는것 같다.
서울에는 가용역역이 4개나 되는군요..
즐겁게 aws를 사용합시다.
나는 gcp도 공부해야 되는데...
'aws 자격증 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0) | 2021.04.02 |
---|---|
가상화 (0) | 2021.03.30 |
클라우드 서비스란? (0) | 2021.03.27 |